2021년 4월 23일 금요일

Claim interpretation - Broadest Reasonable Interpretation (BRI) (MPEP 2111)

  • 2111 은 특허 출원 심사 중 claim interpretation 기준에 대하여 설명; Phillips v. AWH Corp. (Fed. Cir. 2005) 판결에서, CAFC 는 PTO 가 특허 심사 중 broadest reasonable interpretation (BRI) 기준으로 claim interpretation 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확인
  • 즉, PTO 는 claim limitation 을 해석함에 있어서, claim language 그 자체만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기재사항을 참작하여 PHOSITA 입장에서 broadest reasonable interpretation 을 함; 특허 등록 후, claim limitation 은 customary and plain meaning 으로 해석 (Phillips v. AWH Corp.)
  • 37 CFR 1.75(d)(1) 에 의하면, claim limitation 은 명세서 기재사항에 의하여 명확하게 뒷받침 (clear support or antecedent basis) 되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 판례에 의하면, claim limitation 을 그대로 명세서에 기재하는 것 (ipsis verbis) 으로는 “clear support” 되었다고 보지 않음
  • 등록된 claim 즉, validity, infringement (court) 절차 중에는 BRI 가 아닌 plain meaning 으로 해석; 이것은, 특허 심사 중 심사관이 claimed invention 에 대한 출원인의 명확한 의도를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등록으로 확정된 claim 은 그러한 기록에 근거하여 해석 가능하기 때문임 (Patented claims are not given the broadest reasonable interpretation during court proceedings involving infringement and validity; and can be interpreted based on a fully developed prosecution record. In contrast, an examiner must construe claim terms in the broadest reasonable manner during prosecution as is reasonably allowed in an effort to establish a clear record of what applicant intends to claim. In re Morris (Fed. Cir. 1997))
  • 또한, 출원인은 심사 중 claim amendment 가 가능하므로, claim limitation 에 대한 BRI 기준으로의 해석은 등록 후, 심사과정에서 받아들여진 것 보다 더 넓은 의미로 해석될 가능성을 제거함 (Because applicant has the opportunity to amend the claims during prosecution, giving a claim its broadest reasonable interpretation will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claim, once issued, will be interpreted more broadly than is justified. In re Yamamoto (Fed. Cir. 1984))
  • 그러나, BRI 가 broadest possible interpretation 을 의미하지는 않음; 출원인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은 이상, 오히려 ordinary and customary meaning 으로 해석한다는 의미이고, specification 과 drawing 의 기재사항과 일치되는 claim term 으로 해석함; 특히, PHOSITA 가 다다를 수 있는 의미와도 일치해야 함
*** In re Cortright 사건에서, PHOSITA 는 'restore hair growth' 의 해석을 두피에서 자라는 머리카락이 증가 (increase) 한다고 해석하지, 원상회복한다 (produce full head of hair) 로 해석하지는 않음; 해당 사건에서, 심사관이 대머리는 통상 원상회복되지 않는데, restore 를 원상회복으로 해석 한 다음, claimed invention 을 utility 결여를 원인으로 특허거절 하였으나, 재판부에서 그러한 해석이 BRI 해석기준에 맞지 않으므로, 심사관의 utility 결여 특허거절 사유는 부적절하다고 판결함

  • 즉, 청구항 용어의 해석과 관련한 핵심 질의는 "PHOSITA 의 입장에서 합리적인 의미는 무언인가?" 가 됨

Compliance with the utility requirement (MPEP 2107)

  • The following Guidelines establish the policies and procedures to be followed by Office personnel in the evaluation of any patent application for compliance with the utility requirements of 35 U.S.C. 101 and 35 U.S.C. 112(a), or pre-AIA 35 U.S.C. 112, first paragraph. Utility 요건은 101 및 112조 (a) 2곳에 규정되어 있음
  • An invention has a well-established utility if (i)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ould immediately appreciate why the invention is usefu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e.g., properties or applications of a product or process), and (ii) the utility is specific, substantial, and credible. (1) PHOSITA 기준에서 발명이 useful (유용) 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 이것은 “well-established utility”이라 함; 특히, well-established utility 는 “readily apparent” (즉시 확인 가능할 정도로 명확) 해야 함
  • If the applicant has asserted that the claimed invention is useful for any particular practical purpose (i.e., it has a "specific and substantial utility") and the assertion would be considered credible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o not impose a rejection based on lack of utility. (2) 출원인이 발명이 useful 하다고 주장한 경우, PHOSITA 입장에서 그러한 주장이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검토
  • Any rejection based on lack of utility should include a detailed explanation why the claimed invention has no specific and substantial credible utility. 심사관이 상기 (1) 또는 (2) 에 의하여 발명이 utility 를 갖췄음에 대하여 거절하는 경우, 그 상세한 사유를 기재하여 거절해야 함 (즉, prima facie case of no utility 를 입증해야 함)
  • If the applicant has not asserted any specific and substantial utility for the claimed invention and it does not have a readily apparent well-established utility, impose a rejection under 35 U.S.C. 101, emphasizing that the applicant has not disclosed a specific and substantial utility for the invention. Also impose a separate rejection under 35 U.S.C. 112(a) or pre-AIA 35 U.S.C. 112, first paragraph, on the basis that the applicant has not disclosed how to use the invention due to the lack of a specific and substantial utility. 101 에 근거한 utility 거절과 112(a) 에 근거한 거절의 차이점 – 출원인이 “substantial utility” 를 기재하지 않았고, well-established utility 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101 에 근거하여 “발명이 substantial utility 없음”으로 거절이유 발행; 출원인이 명세서에 specific and substantial utility (how to use the invention) 를 기재하지 않았으므로, 112 (a) 위반으로 거절이유 발행
  • Once a prima facie showing of no specific and substantial credible utility has been properly established, the applicant bears the burden of rebutting it. The applicant can do this by amending the claims, by providing reasoning or arguments, or by providing evidence in the form of a declaration under 37 CFR 1.132 or a patent or a printed publication that rebuts the basis or logic of the prima facie showing. 거절이유에 대하여, 출원인은 청구항 보정, utility 하다는 반박, declaration (선언), 또는 서면 증거로써 발명의 utility 를 증명할 수 있음


Inventions patentable - Requirements of 35 U.S.C. 101 (MPEP 2104)

  • MPEP 2104 patentable invention 에 관하여, 35 U.S.C. 101 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whoever invents or discovers an eligible invention may obtain only one patent therefor” 와 같으므로, 본 조항에 의하여 double patenting 즉 동일한 발명으로 2 이상의 특허를 받으려는 것에 대한 거절 근거로 제시하고 있음
  • 또한, 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자는 “whoever invents …” 이므로, 발명자 요건에 대한 근거 규정 이기도 함; 다만, AIA 발효 후, 몇 가지 예외적인 상황 (e.g., 발명자에게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에서는 applicant 에 의한 특허출원 가능
  • 셋째, claimed invention eligible , 특허받을 수 있는 발명이어야 함; 2가지의 criteria for subject matter eligibility 가 있는데, (1) a claimed invention must fall within one of four statutory categories i.e., process, machine, manufacture, or composition of matter; and (2) a claimed invention must be directed to patent-eligible subject matter and not a judicial exception, i.e., abstract idea, law of nature, natural phenomenon.
  • 넷째, claimed invention utility 요건을 만족해야 함


2021년 4월 19일 월요일

Robert J. Kim, Attorney at law (DC)


Robert J. Kim (김정훈), Wooin Patent & Law

저는 콕스특허법률사무소의 미국변호사 (Attorney at law, DC) 김정훈입니다.

20여년간의 특허청 산하기관, 대/중/소기업 특허담당자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의 특허전략 수립, 비즈니스의 안정적 보호를 위한 특허권리의 획득, R&D 과정에서 경쟁사 특허분석 및 침해여부 검토를 통한 특허분쟁 위험 사전예방, 연구원 및 특허담당자 대상 특허 교육 등 기업에서 필요한 특허활동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자문을 제공해드릴 수 있습니다. 

1997.3월 한국특허정보원을 시작으로 국내 다양한 기술분야의 중소, 중견 및 대기업에서 특허담당자로 재직하였고, 2006.8월에는 미국 Franklin Pierce Law Center 에서 MIP 학위를 받았습니다. 2011년말 US patent agent (미국변리사) 자격 시험에 합격하여 현대오트론에 입사한 후 오트론의 특허관리체계를 수립하였으며, 특허담당자로 재직 중이던 지난 2020년초 Washington DC bar 시험에 합격하여 미국변호사가 되었습니다. 

2022년에는 특허법인우인 소속으로 2건의 NPE의 미국특허소송에 피소된 국내기업을 대리하여 효과적으로 사건을 종결하였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특허요건, 특허침해 판단과 관련된 판례 (CAFC, US Supreme Court 사건 중심) 및 MPEP 를 통하여 미국특허법을 함께 공부하고자 합니다. 업무 중에 맞딱뜨리는 다양한 특허문제를 함께 의논하는 것도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I am an attorney at law (Washington DC) at COX Patent & Law Firm. I focus on my practice on counseling matters for companies, especially, startups and small and medium sized ones. Based on my former employment, I cover various fields of technologies including medical devices, automotive control logics, electrical components, and chemistry.

I began my patent career by entering Korea Institute of Patent Information (KIPI) as a patent researcher. I then accumulated my experience as an in-house patent staff of private companies in small, medium, and large sizes. I have experience on structuring strategic corporate patent management, projecting and harvesting necessary patent rights thereby secure stable business, and conducting patent analysis to mitigate patent dispute probabilities in relation to R&D activities.

I represented Korean companies as defendants in two patent infringement suits filed by NPE. The results were both favorable to my clients.

In this blog, I will focus on studying US patent law, especially, patentability requirements through US case law and MPEP.

You are always welcome to discuss patent matters you may encounter while preforming your patent job diligently for your company.

April 19, 2021, PATENT BRILLIANT: US patent case law